반응형

http://ko.wikipedia.org/wiki/%EB%A1%9C%ED%94%BC%ED%83%88%EC%9D%98_%EC%A0%95%EB%A6%AC





먼저 정리를 하자면 0/0, ∞/∞ 꼴에서 로피탈의 정리 사용이 가능한데

 

&#-0;  \lim_{x\to c}{f(x) \over g(x)}  =  \lim_{x\to c}{f'(x) \over g'(x)} &#-0;

 

에서 g(x)≠0 이어야 하고 f', g' 후에도 f'(x)/g'(x) 에 극한값이 존재 해야 한다

그러나 한번 미분 후 0/0, ∞/∞ 꼴이 반복된다면 이러한 꼴이 나타나지 않을때까지

계속 반복을 해주어 극한값을 찾아낸다

 

&#-0;  \lim_{x\to c}{f'(x) \over g'(x)} = A, A \in \mathbb{R}^*&#-0;

의 값 A가 확장된 실수상에서 존재하면, 아래의 극한값은 A와 같다.

&#-0;  \lim_{x\to c}{f(x) \over g(x)}  =  \lim_{x\to c}{f'(x) \over g'(x)} &#-0;

 

[but] 

복소함수에의 적용 불가

무한대 근처에서의 진동할 때의 적용 불가


 

로피탈의 정리(l'Hôpital's rule, 또는 l'Hospital's rule)은 해석학 및 미적분학에서 사용되는 함수의 극한에 관한 정리의 하나이다. 함수의 도함수를 사용하여, 부정형(不定形)의 극한값을 계산하는 데 이용된다.

 

이 정리의 이름은 17세기에 활동하였던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후작인 기욤 드 로피탈(Guillaume de l'Hôpital)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로피탈은 그의 저서인 《곡선을 이해하기 위한 무한소 해석》(l'Analyse des Infiniment Petits pour l'Intelligence des Lignes Courbes)에서 이 정리를 소개하였다.

 

이 정리는 베르누이의 규칙(Bernoulli's rule)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1]

 

엄밀한 표현 [편집]

확장된 실수 \mathbb{R}^*상의 구간 [a,b]에서 연속이고 (a,b)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x) , g(x)가 있다. c \in \mathbb{R}^*라 하고, 이때 아래의 함수 f , g 의 c로의 극한의 값이 0이거나

\lim_{x \rightarrow c} f(x) = \lim_{x \rightarrow c} g(x) = 0

모두 발산하고

 \lim_{x\to c}{|f(x)|} = \lim_{x\to c}{|g(x)|} = \infty

아래의 극한

&#-0;  \lim_{x\to c}{f'(x) \over g'(x)} = A, A \in \mathbb{R}^*&#-0;

의 값 A가 확장된 실수상에서 존재하면, 아래의 극한값은 A와 같다.

&#-0;  \lim_{x\to c}{f(x) \over g(x)}  =  \lim_{x\to c}{f'(x) \over g'(x)} &#-0;

예제 [편집]

 좀 더 기술적인 계산에 대해서는 en:L'Hôpital's rule#Examples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예를 들어, \lim_{x \to 0}\frac{\sin x}{x}의 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im_{x \to 0}\frac{\sin x}{x} = \lim_{x \to 0}\frac{\cos x}{1} = 1

극한 존재의 필요성 [편집]

다음 극한이 존재한다는 조건이 필수적이다.

&#-0;  \lim_{x\to c}{f'(x) \over g'(x)} = L&#-0;

미분된 함수의 극한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로피탈의 정리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f(x) = x + \sin x, \;g(x) = x일 경우,

\lim_{x\to \infty} {f'(x) \over g'(x)} = \lim_{x\to \infty} {{1 + \cos x} \over 1}

의 값은 존재하지 않지만, 다음 극한은 존재한다.

\lim_{x\to\infty}\frac{f(x)}{g(x)} = \lim_{x\to\infty}\left(1+\frac{\sin x}{x}\right) = 1

 

 

 

 

복소함수에의 적용 불가

무한대 근처에서의 진동할 때의 적용 불가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