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본은 위키백과이고 중간에 약간 식을 추가..



오일러의 공식


오일러의 공식
은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의 이름이 붙은 공식으로, 삼각함수 지수함수에 대한 관계를 나타낸다. 오일러의 등식은 이 공식의 특수한 경우이다.


오일러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실수 x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e^{ix} \,=\, \cos x + i\sin x


여기서, e는 자연로그의 밑인 상수이고, i는 제곱하여 -1이 되는(i2 = - 1허수단위sin,cos삼각함수의 사인과 코사인 함수이다.

x에 π를 대입하여, eiπ + 1 = 0 이라는 오일러의 등식을 구할 수 있다.

목차

 [숨기기]

역사

오일러 공식은 1714년 로저 코츠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처음 증명하였다.

 \ln(\cos x + i\sin x) \,=\, ix

지금과 같은 모양의 오일러의 공식은 1748년 오일러가 무한급수의 좌우 극한값이 같음을 증명하면서 발표되었다. 그러나 로저와 오일러 모두 이 공식이 지닌 '복소수를 복소평면 위의 하나의 점으로 볼 수 있다'는 기하학적 의미를 눈치채지는 못하였고, 이것은 약 50년이 지난 후에나 발견되었다. 오일러는 현재의 교육과정에서 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학생들에게 복소수를 가르쳤다. 그의 기초 대수학 교재인 대수학 원론(Elements of Algebra)에 보면 교재의 거의 맨 앞부분부터 복소수를 도입하고 있고 교재 전체를 통틀어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다.





블로그 이미지

3DMP engines

3D그래픽스 물리 수학, 프로그래밍 GPU Shader 게임엔진 알고리즘 디자인패턴 matlab etc..

이 줄친 사이부분만 추가..


e^{ix} \,=\, \cos x + i\sin x


 x <= pi/2 


90도에 의하여 cos(pi/2) = 0 , sin(pi/2) = 1


e^i(pi/2) = 0 +  i*1


i = e^i*pi/2


i^i = (e^i*pi/2)^i = e^i*(pi/2)i = e^i*i*(pi/2)e^-(pi/2)  -> 실수가 된다






증명

[편집]테일러 급수를 이용한 방법

테일러 급수에 따라 실수 범위에서 다음의 식이 성립한다.

\begin{array}{rll}

e^x &{}= 1 + x + \frac{x^2}{2!} + \frac{x^3}{3!} + \cdots &{}= \sum^{\infin}_{n=0}{\frac{x^n}{n!}} \\
\cos x &{}= 1 - \frac{x^2}{2!} + \frac{x^4}{4!} - \frac{x^6}{6!} + \cdots &{}= \sum^{\infin}_{n=0}{\frac{(-1)^n}{(2n)!}}x^{2n} \\
\sin x &{}= x - \frac{x^3}{3!} + \frac{x^5}{5!} - \frac{x^7}{7!} + \cdots &{}= \sum^{\infin}_{n=0} \frac{(-1)^n}{(2n+1)!} x^{2n+1} \\

\end{array}

이때 x가 복소수일 때에 앞의 무한급수를 각각의 함수로 정의한다. 그러면

\begin{align}

e^{iz} &{}= 1 + iz + \frac{(iz)^2}{2!} + \frac{(iz)^3}{3!} + \frac{(iz)^4}{4!} + \frac{(iz)^5}{5!} + \frac{(iz)^6}{6!} + \frac{(iz)^7}{7!} + \frac{(iz)^8}{8!} + \cdots \\

&{}= 1 + iz - \frac{z^2}{2!} - \frac{iz^3}{3!} + \frac{z^4}{4!} + \frac{iz^5}{5!} - \frac{z^6}{6!} - \frac{iz^7}{7!} + \frac{z^8}{8!} + \cdots \\

&{}= \left( 1 - \frac{z^2}{2!} + \frac{z^4}{4!} - \frac{z^6}{6!} + \frac{z^8}{8!} - \cdots \right) + i\left( z - \frac{z^3}{3!} + \frac{z^5}{5!} - \frac{z^7}{7!} + \cdots \right) \\

&{}= \cos z + i\sin z

\end{align}

가 된다.

[편집]미분 계산을 이용한 방법

 f(x) = e^{-ix}(\cos x + i\sin x) \cdots (1)  라면,
 \frac {d}{dx} f(x) = -ie^{-ix}(\cos x + i\sin x)+e^{-ix}(-\sin x + i\cos x) = e^{-ix}(-i \cos x + \sin x -\sin x + i\cos x) =0
 \therefore f(x)=C  (단, C는 상수)

(1)에 x = 0을 대입하면,

f(0) = 1
 \therefore C=1
e − ix(cosx + isinx) = 1
eix = (cosx + isinx)

Q.E.D.

[편집]미적분을 이용한 방법

다음과 같은 복소수 z를 생각하자:

z=\cos x + i\sin x \,

양변을 x에 대해 미분하면:

\frac{dz}{dx}=-\sin x + i\cos x

i2 = - 1이므로:

\frac{dz}{dx}=i^2\sin x + i\cos x=i(\cos x + i\sin x)=iz

양변을 적분하면:

\begin{align}

\frac{1}{z}\,\frac{dz}{dx}&= i \\
\int\frac{1}{z}\,dz&=\int i\,dx \\
\ln z&=ix + C

\end{align}

(여기에서 C는 적분 상수이다.)

이제 C = 0이라는 것을 증명한다. x = 0일 경우를 계산해보면

\begin{align}

\ln z &= C \\
z &= \cos x + i\sin x = \cos 0 + i \sin 0 = 1

\end{align}

따라서

\begin{align}
\ln 1 &= C \\
C &= 0

\end{align}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begin{align}

\ln z &= ix \\
z &= e^{ix} \\
e^{ix} &= \cos x + i\sin x

\end{align}

Q.E.D.


[편집]미분방정식을 이용한 방법

함수 g(x)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g(x) = eix

허수단위 i 는 상수이므로 g(x)의 도함수와 이계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begin{align}

g'(x) &= i e^{ix} \\
g''(x) &= i^2 e^{ix} = -e^{ix}

\end{align}

이로부터

g''(x) = -g(x) \  또는
g''(x) + g(x) = 0 \  라는 2차 선형 미분방정식이 만들어지고,

일차 독립인 두 해가 발생한다.

\begin{align}

g_1(x) &= \cos x \\
g_2(x) &= \sin x

\end{align}

한편, 차수가 같은 미분방정식의 어떤 선형 결합도 해가 될 수 있으므로 위의 미분방정식의 일반적인 해는 다음과 같다.

\begin{align}

g(x)
&= A g_1(x) + B g_2(x)\\
&= A \cos x + B \sin x\\
g'(x)
&=-A \sin x + B \cos x

\end{align}
(A와 B는 상수)

그리고 여기에 함수 g(x) 의 초기 조건

\begin{align}

g(0) &= e^{i0} &= 1 \\
g'(0) &= i e^{i0} &= i

\end{align} 을 대입하면,
\begin{align}

g(0) &= {\color{White}-}A \cos 0 + B \sin 0 &= A \\
g'(0) &= -A \sin 0 + B \cos 0 &= B

\end{align}


곧,

\begin{align}

g(0) &= A &= 1 \\
g'(0) &= B &= i

\end{align}

이므로

g(x) \,=\, e^{ix} = \cos x + i \sin x 이다.

Q.E.D.

[편집]cis 함수

cis 함수 또는 복소 지수 함수는 오일러의 공식으로부터 바로 유도되는 함수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operatorname{cis}(\theta) = e^{i\theta} = \cos \theta + i\sin \theta

이 함수는 푸리에 변환이나 페이저 등에서 복소수와 관련된 연산을 할 때 흔히 사용된다.



반응형

'수학 (Mathematics) > 미적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분분수  (0) 2012.11.03
미분공식3개 (tan^-1(x))' , ∫1/(1+x^2) dx , ∫1/(a^2+x^2) dx  (0) 2012.11.03
심슨의 법칙  (0) 2012.11.03
2변수에 대한 테일러급수 정리  (0) 2012.11.03
벡터 외적 기본공식  (0) 2012.11.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