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 소수점 기수법 |
floating-point representation system, 浮動小數點記數法 [컴퓨터] |
지수를 이용하는 기수 표기법. 매우 큰 수 및 매우 작은 수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부동 소수점 기수법에서 수는 부동 소수점 부분과 지수 부분(exponent)의 2부분으로 나뉘어 표현된다. 부동 소수점 부분을 가수부(mantissa)라고도 한다. 가수부는 그 수의 숫자 부분을 지정하고 지수부는 그 수의 크기(소수점의 위치)를 지정한다. 부동 소수점 기수법에서 어떤 수 (n)이 가수부 (a)와 지수부 (b)로 표현되면 n=a×rb가 된다(r는 기수). 예를 들면 10진수 314,600,000과 0.0000451은 각각 3,146E5와 451E-7로 표현되는데 3,146과 451은 가수부이고 E5와 E-7은 지수이다. 따라서 314,600,000=3,146×105가 되고, 0.0000451=451×10-7이 된다. |
규칙들
1.가수는한자리,0이아닌정수로쓰여야만한다.
2.가수는소수부수들의고정된개수를가지고쓰여야만한다.(이것을M이라고정의)
3.지수는고정된개수의수들로쓰여야만한다.(이것을E라고정의)
4.가수와지수는각각개별적인부호를가진다
최대, 최소 지수 ±(10^E -1) = ±(10^2 -1) =±99
최대 기수 값 10.0 - {10^(-M) } = 10.0 -{10^(-3)} = 10.0 - 0.001 = 9.999
최대 표현 가능한 값 : 9.999 * 10^99
최소 표현 가능한 값 : -9.999 * 10^99
가장 작은 양의 값 : 1.000 * 10^99
반응형
'프로그래밍(Programming) > c++, 11, 14 , 17, 2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름없는 union 과 struct 로 행렬클래스 생성 아이디어 (1) | 2012.11.01 |
---|---|
restrict 포인터 {void* restrict pt} (0) | 2012.11.01 |
void* operator new(size_t t, 추가 인자와 사이즈 계산 (0) | 2012.11.01 |
Protected 생성자 (0) | 2012.11.01 |
win32 에서 출력창에 표시 (0) | 201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