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동차비분방정식 1.2.4 완전미분방정식
1.2.3 동차비분방정식
동차미분방정식을 정의하기에 앞서 우선 동차함수에 대하여 살펴보자.
정의 2.3.1 임의의 에 대하여 가 성립할 때 를 차동차함수(homogeneous function)라 한다.
동차함수란 각 항의 차수의 합이 같음을 의미한다.
예제 2.3.1 다음의 주어진 함수가 동차함수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라.
(1)
(2)
(3)
풀이
(1)
는 3차 동차함수이다.
(2)
그러므로 는 의 차수가 1 이므로 동차함수가 될 수 없다.
(3)
는 1차 동차함수이다.
미분방정식
(2.4)
에서 와 가 같은 차수의 동차함수일 때 (2.4)를 동차미분방정식 (homogeneous differential equation)
이라 한다.
동차미분방정식은 치환에 의하여 항상 변수분리형 미분방정식으로 변형된다.
치환 혹은 를 이용하여 미분방정식 (2.4)는 변수분리형 미분방정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와 는 각각 에 의존하는 새로운 종속변수이다.
만일 치환 를 적용하여 양변을 에 대하여 미분하면
미분방정식 (2.4)는
으로 된다. 이 차 동차함수이면
이므로 다음과 같이 변수분리형 미분방정식으로 변형된다.
치환 를 실시하면
을 얻게된다.
여기서 소개된 두 가지 치환중에서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는가 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이 설정해 볼 수 있다.
에 비하여 식이 더 복잡하면 치환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보다 간단한 식을 얻을 수 있다.
역으로 에 비하여 식이 더 복잡하면 치환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한가지 치환을 실시했을때 적분불가능한 식을 얻게 되면 다른 치환으로 시도해 볼 수 있다.
예제 2.3.2 을 풀어라.
풀이 이 2차동차함수이므로 치환 를 실시하면
변수분리형 미분방정식으로 변형하면
을 얻는다. 위의 식을 에 대하여 각각 적분하면
를 얻게 된다.
예제 2.3.3 을 풀어라.
풀이 가 3차동차함수이며 이 보다 간단하므로 치환 를 적용하면
을 얻게 된다. 위 식을 변수분리하여 적분하면
를 얻는다.
연습문제 1.2.3
1. 다음 함수들이 동차함수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라. 동차함수이면 차수를 결정하라.
(1) (답: 동차함수, 차수=4)
(2) (답: 비동차함수)
(3) (답: 동차함수, 차수=0)
(4) (답: 비동차함수)
(5) (답: 동차함수, 차수=0)
(6) (답: 동차함수, 차수=-2)
2. 다음 동차방정식을 적당한 치환에 의하여 해를 구하라.
(1) (답: )
(2) (답: )
(3) (답: )
(4) (답: )
3. 다음 초기치 문제의 해를 구하라.
(1) (답: )
(2) (답: )
(3) (답: )
4. 동차방정식 는 치환 에 의하여 변수분리형미분방정식으로
변환시켜보라.
5. 동차방정식 는 로 변형될 수 있음을 보여라.
1.2.4 완전미분방정식
공간의 영역 에서 정의된 의 편도함수 가 연속일 때, 의 전미분은
(2.5)
로 정의되어진다.
만약 가 어떤 영역 에서 이면 식 (2.5)로 부터
가 된다.
이로부터 주어진 방정식
(2.6)
가 을 만족하는 가 존재한다면 방정식 (2.6)의 해는 가 될것이다.
정의 2.4.1 어떤 함수 에 대하여
가 성립되면 미분방정식 를 완전미분방정식(exact differential equation)이라 한다.
그러면 우리는 아래의 두 가지 문제를 생각해 볼 수 있다.
(1) 가 완전미분방정식인가?
(즉 를 만족하는 가 존재하는가?)
(2) 만약 주어진 방정식이 완전미분방정식이라면 를 어떻게 구할 것인가?
다음 정리에서 물음 (1)에 대한 해답을 찾아보기로 하자.
정리 2.4.1 가 영역 에서 연속인 1계 편도함수를
가진다고 가정했을 때, 이 완전미분방정식이 될 필요충분조건은
증명
(i) 가 완전미분방정식이면
를 만족하는 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영역 에서 가 성립된다.
여기서 인 것은 함수 이 연속인 1계 편도함수를 가지므로 가능하다.
(ii) 가 완전미분방정식이 되기 위해서는
를 만족하는 가 존재하여야 한다. 즉,
를 만족하여야 하므로 우선, 의 양변을 에 대하여 적분하면
를 얻게 된다. 즉
(2.7)
를 얻게 된다. 여기서 는 에 대하여 적분하였을 때 적분상수이다.
위 식을 에 대하여 편미분을 취하면
(2.8)
우변의 식 는
이므로 와 무관한 만의 함수이다.
그러므로 를 에 관하여 적분하여 를 구할 수 있다.
위의 증명 (ii)는 가 완전미분방정식일때 방정식의 해 를
풀이하는 과정을 함께 보여주고 있다. 위의 증명에서는 에서 시작하였지만
를 이용하여 를 구하여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식 (2.7), (2.8)은
(2.9)
(2.10)
로 각각 대치될 수 있을 것이다.
예제 2.4.1 가 완전미분방정식임을 보이고
그 해를 구하라.
풀이
이므로 정리 2.4.1에 의하여 주어진 미분방정식은 완전미분방정식이다.
보다 가 더 간단하므로
라 두자. 정리 2.4.1 (ii)의 과정을 따르면
를 얻는다.
를 얻는다. 따라서 해집합은
예제 2.4.2 다음 초기치 문제를 풀어라.
풀이
이므로 주어진 미분방정식은 완전미분방정식이다.
이므로 적당한 에 대하여
를 만족한다.
이 성립해야 하므로
따라서 미분방정식의 해집합은
을 위 식에 대입하면
따라서 주어진 초기치 문제의 해는
연습문제 1.2.4
1. 다음 미분방정식이 완전미분방정식인지를 판단하고 완전미분방정식일 경우 그 해를 구하라.
(1)
(답: )
(2)
(답: )
(3)
(답: )
(4)
(답: )
(5)
(답: )
2. 다음 초기치문제의 해를 구하라.
(1)
(답: )
(2)
(답: )
(3)
(답: )
(4)
(답: )
3. 다음 미분방정식이 완전미분방정식이 될 수 있도록 미지수 를 정하라.
(1) (답: )
(2) (답: )
(3) (답: )
4. 다음 미분방정식이 완전미분방정식이 될 수 있도록 를 결정하라.
(답: 단, 는 임의의 에 대한 함수)
5. 다음 미분방정식이 완전미분방정식이 될 수 있도록 를 결정하라.
(답: 단, 는 임의의 에 대한 함수)
'수학 (Mathematics) > 공업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래머 공식 순서와 변수변환법 3차에서 에서 왜 0,0,f(x) 로 놓고 푸는지... (0) | 2012.11.03 |
---|---|
변수변환법(매개 변수 변환법) (0) | 2012.11.03 |
가우스 구적법 와 보간법 (뉴튼 다항식 보간법, 라그랑제 다항식 보간법, 선형보간법, 네빌레의 (0) | 2012.11.03 |
고차 방정식의 해 구하기 (뉴튼 - 랩슨법, Newton-Rahpson (0) | 2012.11.03 |
원뿔곡선 (0) | 2012.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