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둘의 차이점은 실행하다 성공이냐 아니면 실행하다 실패냐에 따라 트리를 빠져나올지 결정한다
https://docs.unrealengine.com/latest/KOR/Engine/AI/BehaviorTrees/QuickStart/10/index.html
비헤이비어 트리 애셋이 이미 열려있지 않다면, 콘텐츠 브라우저 에서 더블클릭 하여 엽니다.
비헤이비어 트리 모드에서, 그래프 영역에 우클릭 한 다음 Composites -> Selector 노드를 두 개 추가합니다.
비헤이비어 트리 모드에서, 그래프 영역에 우클릭 한 다음 Composites -> Sequence 노드를 추가합니다.
이 둘은 비헤이비어 트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두 가지 주요 의사결정 노드입니다. Selector 노드는 자손을 왼쪽에서 오른쪽 순으로 실행하다, 그 중 하나가 성공 하면 트리를 빠져나옵니다. 반면 Sequence 노드는 자손을 왼쪽에서 오른쪽 순으로 실행하다, 그 중 하나가 실패 하면 빠져나옵니다.
반응형
'게임엔진(GameEngine) > Unreal4'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w do i call a custom event funtion? (0) | 2016.08.24 |
---|---|
USaveGame : 하드디스크에 정보를 저장하기 (0) | 2016.08.11 |
Set Array Elem 사용시 주의 점 (0) | 2016.07.29 |
int 를 FString 으로 변환하기 또는 FString 을 다른 자료형 타입으로 변환하기 (0) | 2016.07.26 |
c++ 에서 블루프린트에 스트링/로그 출력 (0) | 2016.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