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널 디버깅을 위한 준비물 입니다. 예전에는 Virtual PC 환경에서 윈도우 이미지를 직접 생성해서 사용했습니다만... MS에서 XP 이미지를 제공 하는군요.
* 커널 디버거 : WinDbg
* 분석용 디버기 : Virtual PC 2007
* VHD OS 이미지 : Windows XP SP3
1. 디버거(WinDbg) 환경설정
[File] - [Kernel Debug] 메뉴로 가서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2. 디버기(Virtual PC) 부팅 시스템 환경설정
Virtual PC로 부팅한 시스템 boot.ini 파일의 끝에 아래와 같이 추가 합니다.
[before]
multi(0)disk(0)rdisk(0)partition(1)\WINDOWS="Microsoft Windows XP Professional" /noexecute=optin /fastdetect
[after]
multi(0)disk(0)rdisk(0)partition(1)\WINDOWS="Microsoft Windows XP Professional" /noexecute=optin /fastdetect /debugport=com1 /baudrate=115200 /debug
3. 디버기(Virtual PC) 환경설정
Virtual PC 세팅메뉴에서 COM1 포트를 아래와 같이 설정 합니다.
4. 커널 디버깅 시작
모든 준비가 끝났습니다. WinDBG를 실행하면 디버기의 신호를 기다리게 됩니다. Virtual PC 부팅 후 WinDBG 창에서 [Debug] - [Break] 를(단축키:Ctrl+Break) 클릭하여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출력된다면 성공 입니다. (WinDBG 커맨드 입력창의 'kd>' 표시는 커널 디버깅 상태를 의미 합니다)
'디버깅 & 스킬 > 디버깅 & VS Debugg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GFlags를 사용해 힙 영역 문제점 탐지 (0) | 2012.12.12 |
---|---|
window7 덤프파일 생성 경로 (0) | 2012.12.12 |
WinDbg를 이용한 VMWare의 가상머신 Kernel debugging (0) | 2012.12.10 |
[WinDbg] vmware와 함께 사용하기 (0) | 2012.12.10 |
Virtual KD와 Windbg를 이용한 커널 디버깅 (0) | 2012.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