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절대값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Crystal Clear action spellcheck(korean).png이 문서의 제목을 절댓값(으)로 바꾸자는 제안이 있습니다.
토론 문서에서 의견을 나누어 주세요.

수학에서 절댓값이란, 어떤 실수에서 부호를 제거한 값을 말한다. 예를 들어, 3과 -3의 절댓값은 둘 다 3이 된다.

또한, 복소수사원수벡터 등에 대해서도 절댓값을 일반화시킬 수 있다.

목차

 [숨기기]

[편집]실수

절대값 함수

어떠한 실수 a의 절대값은 |a| \,로 표기하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a| := \begin{cases} a, & \mbox{if }  a \ge 0  \\ -a,  & \mbox{if } a < 0. \end{cases}

정의에 따라, 이 값은 양수나 0이 될 수는 있지만, 음수는 절대 될 수 없다. 그리고 다음의 정리들이 성립한다.

|a| = \sqrt{a^2}
|a| \ge 0
|a| = 0 \iff a = 0
|ab| = |a||b|\,
|a+b|  \le |a| + |b|
|-a| = |a|\, (대칭성)
|a - b| = 0 \iff a = b
|a - b|  \le |a - c| +|c - b|   (삼각부등식)
|a/b| = |a| / |b| \mbox{ (if } b \ne 0) \,
|a-b| \ge |a| - |b|

또한, 다음 식은 유용하게 사용된다.

|a| \le b \iff -b \le a \le b
|a| \ge b \iff -a \le -b \mbox{ or } b \le a

이 식을 이용하면 절대값이 들어간 부등식을 쉽게 풀 수 있다.

|x-3| \le 9
\iff -9 \le x-3 \le 9
\iff -6 \le x \le 12

[편집]복소수

복소수에서는 값들의 크기 비교가 불가능하기 때문에[1], 실수에서의 정의를 쓸 수 없다. 대신, 앞에서의 성질 중 하나인

|a| = \sqrt{a^2}

를 이용할 수 있다.

임의의 복소수

z = x + yi\,

에 대해, 절댓값 z |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z| :=  \sqrt{x^2 + y^2}.

이렇게 정의하면, 앞의 절대값의 성질이 모두 성립하며, 특히 이 정의는 z가 실수일 때에도 성립하게 된다.

 |x + i0| = \sqrt{x^2 + 0^2} = \sqrt{x^2} = |x|.

이때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따라 절대값은 원점과 복소수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게 된다. 더 일반적으로, 두 복소수 사이의 거리는 복소수의 차의 절대값이 된다.

반응형

'수학 (Mathematics) > 고,중학 수학 및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선의 방정식  (0) 2012.11.02
치환적분  (0) 2012.11.02
조립제법  (0) 2012.11.02
번분수  (0) 2012.11.02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 사이의 부등식과 그 증명  (0) 2012.11.02

+ Recent posts